본문 바로가기
건강

강아지 꼬리 자르는 이유, 잘라도 괜찮을까 ?!


강아지 꼬리 자르는 이유

주위 강아지를 지켜보다 보면 꼬리를 자른 강아지를 간혹 볼 수 있는데 복슬복슬한 털과 오동통한 엉덩이로 사람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웰시코기 역시 마찬가지 이다.


원래 웰시코기 꼬리는 짧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땅에 닿을 만큼 길지만 엉덩이를 동그랗게 만들기 위해 꼬리를 자르는 수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종종 웰시코기 꼬리는 원래 짧은 것이 아닌가 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더러 있는데 이는 웹시코기가 태어나고 1주일 만에 단미 수술을 감행, 입양할 때부터 꼬리가 짧은 상태로 오기 때문이다.


강아지 꼬리 자르는 이유 무엇 ?!


강아지의 꼬리를 자르는 단미는 오랜 역사적 배경을 갖고 있다.

단미는 로마 시대에 목장에서 방목하는 가축의 무리를 유도 및 감시하고 보호하도록 훈련된 작업견인 목양견을 늑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물리기 쉬운 귀와 꼬리를 자르면서부터 유래됐다.

또한 중세 유럽에는 사냥개인 스포팅 도그에 매겨졌던 세금이 한때 꼬리를 자르면 면제돼 단지 면세의 목적으로 꼬리를 잘리기도 했다.


이밖에 단미를 가장 많이 하는 테리어 견종이 페스트 억제를 위해 쥐 잡기에 동원될 때 물리지 않기 위한 목적으로 감행했다는 설이 전해지기도 하며 사냥에 동원된 개들이 나뭇가지나 수풀 등에 꼬리를 다치지 않도록 잘라주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요즘은 이러한 이유 보단 미용 및 위생 목적이 강한데 해외에서는 동물학대 논란으로 꼬리를 자르는 단미를 금지하고 있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동물보호법에서 거제 및 꼬리자르기, 뿔 없애기 수술 등을 진행할 때 수의학적 방법으로 실시해야 하며 동물에 대해 도구 및 약물을 사용해 상해를 입히는 학대행위를 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물론 강아지가 꼬리를 자꾸 물어뜯거나 긴 꼬리 때문에 자주 주변에 부딪혀 다칠 경우 단미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미용 목적이다.

푸들이나 요크셔테리어 등도 단미 수술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도그쇼에서 꼬리 길이가 심사기준에 포함돼 있는 것도 한몫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강아지 꼬리 자를 때 염두해 두어야 할 점


강아지들에게 꼬리는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신체부위 중 하나로 사람들의 미적 취향을 위해 꼬리를 자르는 것은 동물학대 일 수 있다.

물론 웰시코기의 종류 중 하나인 펨브로크는 태어날 때부터 짧은 꼬리를 갖고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수세기 동안 사람이 단미 수술을 해오면서 꼬리가 짧게 진화한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강아지를 반려동물로 키우기 시작한 현대 사회에선 대부분 미용목적으로 단미수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과거에는 강아지가 태어난 생후 5~7일 정도에 실을 묶어 꼬리를 자르기도 했지만 요즘은 국소 마취를 통해 간단히 수술로 꼬리를 자르고 있다.

실을 묶어 꼬리를 자를땐 고통도 심할 뿐더러 염증 우려도 있어 위험했는데 현재는 그러한 위험은 다소 사라졌지만 꼬리가 잘린 강아지 입장에선 고통이 없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경우도 수술 후 해당 부위가 아물때까지 통증을 느끼는 것과 같이 강아지도 마찬가지 인 것이다.


또한 꼬리를 자르는 단미수술을 감행할 경우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데 장애를 가질 수 있으며 심리적으로 안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강아지에게 꼬리는 신체의 일부와 같기 때문에 상처가 아물더라도 사람과 같이 절단부 환상통을 느낄 수 있으며 다른 강아지들과 다른 모습에 숨거나 소극적이고 우울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 것이다.

과거 키우던 강아지의 꼬리를 작두로 자른 주인에게 벌금 30만원이 선고된 적이 있다.



주인은 강아지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벌금을 선고한 것이다.

당시 주인은 꼬리가 짧거나 없는 개들이 많아 강아지 꼬리를 자르는 것이 위법한 줄 몰랐다고 주장하며 강아지 3마리의 꼬리를 자른 것은 고의가 없었다고 주장한바 있다.

강아지는 남에게 보여주기 위해 키우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하는 반려의 존재로 질병 등 특별한 이유가 아니고 미용을 위해 꼬리를 자르는 것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문제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