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귀바우처 사용처
아이가 태어나면 기저귀값이 만만치 않게 들기 때문에 기저귀바우처 신청 및 사용처를 알아두는 것은 필수이다.
신생아는 하루 최대 20회 이상 소량씩 소변을 보기 때문에 기저귀를 자주 갈아줘야 하는데 밤에는 최소 1번 이상 갈아주는 것이 좋다.
기저귀를 자주 갈아주지 않으면 발진 등과 같은 피부염이 생기기 쉽상인데 대부분 관리를 잘하면 3~4일 이내로 호전되지만 경우에 따라 발진이 금세 낫지 않고 빨개 지거나 붓고 심한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기저귀바우처 지원대상
기저귀바우처는 아이를 가진 모든 부모에게 지원되지는 않는다.
기준중위소득 40% 이하 만 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가구를 대상으로 영아별로 지원되며 쌍둥이·삼둥이 등의 경우 각각의 아동별로 지원된다.
기저귀만 지원받는 경우 월 64,000원이, 지저귀와 조제분유 모두 지원되는 경우 월 150,000원을 지원 받을 수 있다.
기저귀와 조제분유 모두 지원받는 경우, 총 바우처 지원 금액 내에서 기저귀 또는 조제분유 물품 구분 없이 사용 가능하다.
최대 24개월 동안 지원되는데 출생 후 만 2년이 되는 전날까지 신청 시, 신청일 기준으로 지원이 이루어 진다.
단, 출생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청하는 경우, 24개월분의 금액 모두 지원된다.
기저귀바우처 지원대상 선정에서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는 중위소득이란 국민 소득을 조사하여 오름차순으로 순위를 매겼을 때 가운데를 차지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한다.
매년 정부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을 기준으로 중위소득 40% 금액을 수립하게 되며 해마다 그 금액이 달라지고 가구원 수에 따라서도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
1인 가구는 66만 9,000원이, 2인 가구는 113만 9,000원이 보통 기준이 되며 3인 가구는 147만 3,000원, 4인 가구는 180만 8,000원 가량이 중위소득 40%에 해당되어 진다.
단, 지원대상 소득기준을 초과하더라도 광역 시·도지사가 별도 소득기준을 정하여 추가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원대상 여부는 보건소 및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확인해 보는 것이 가장 좋다.
기저귀바우처 신청방법
기처귀바우처 신청은 영아의 부모가 신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부모가 신청하기 곤란한 경우 주민증록등본상 세대를 같이하는 가족 및 8촌 이내의 혈족·4촌 이내의 인척 또는 후견인 및 법정대리인, 사회복지시설장, 위탁모 등 영아를 양육하는 자나 관계공무원이 대신 신청할 수 있다.
신청장소는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이다.
제출서류로는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신청서, 영아부모의 건강보험증 사본 및 소득증빙자료(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가구원 수 확인자료(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등이 있다.
방문 전 제출서류는 관할 시·군·구 보건소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로 문의해 보는 것이 좋다.
신청 시 영아의 주민등록번호 발급은 필수이며 최종 지원대상 판정 결과는 주민센터에서 신청했더라도 관한 보건소에서 통지해 준다.
신청기간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영아 출생 후 만 2년이 되는 날의 전 날까지 수시로 신청 가능하다.
기저귀바우처 사용처
기저귀바우처 지원대상으로 선정되며 국민행복카드를 발급 받아 정부지원금으로 결제 가능한 유통점에서 바우처로 구매가능한 기저귀 또는 조제분유를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다.
바우처 이용가능 판매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돼 있다.
온라인 사용처로는 BC·롯데·삼성카드 및 우체국쇼핑몰, G마켓, 옥션, 올마이쇼핑몰, 삼성카드 쇼핑 등이 있다.
인터넷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구매를 하지 않는 경우 바우처 결제가 가능한 나들가게에서도 기저귀바우처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바우처 결제가 가능한 롯데마트나 트레이더스 및 신세계 백화점 입점점의 이마트에서도 오프라인으로 기저귀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다.
정확한 기저귀바우처 사용처 및 지원에 대한 정보는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기저귀바우처 정보 확인 Step.1 홈페이지 접속
기저귀바우처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홈페이지는 포털 등에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키워드를 검색해 손쉽게 Search가 가능하다.
기저귀바우처 정보 확인 Step.2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 항목선택
홈페이지는 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 및 사업별소개, 서비스기관검색 등의 카테고리로 구분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저귀바우처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이 중 '사업별소개' 카테고리에서 제공하고 있다.
'사업별소개'는 다시 여러 서비스로 구분되어 지는데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 항목을 순차적으로 클릭해 준다.
기저귀바우처 정보 확인 Step.3 사용처 확인
페이지로 이동하면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가 자세히 표시되어져 있다.
사용처는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 해 이용방법 카테고리에서 확인 가능하며 좀 더 자세한 정보는 '2018년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사업안내 (파일저장)'에서 제공되어 진다.
'파일저장' 탭을 누르면 되며 차례에서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 항목을 찾아 페이지로 이동한 후 정보를 확인하면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