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wsappx 프로그램 삭제해야 하나 ?!


wsappx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의도치 않게 프로그램들이 자동으로 설치되어 오류를 일으킨다거나 PC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곤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성능 개선 및 속도향상을 위해 주기적으로 불필요한 프로그램은 삭제해 주는 편이 좋은데 그래야 컴퓨터 리소스도 소비하지 않고 빠른 스피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wsappx 프로그램은 악성코드나 바이러스가 아닌 윈도우 스토어와 관련된 프로세스로 윈도우 8.1 버전부터 지원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가 작동이 안되거나 에러가 발생하면 윈도우 스토어 앱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wsappx 프로그램 삭제 가능 ?!

wsappx는 윈도우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일반적인 방법으론 삭제가 되지 않으며 인위적으로 삭제할 경우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강제적으로 삭제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다만 윈도우 스토어 앱을 사용하는 경우보단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컴퓨터 리소스를 과도하게 잡아먹어 PC가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면 서비스를 중단시켜 프로그램 사용을 하지 않게 설정할 수는 있습니다.

wsappx 서비스를 중단하는 방법은 크게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법과 실행창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권한으로 CMD를 실행시켜야 하기 때문에 로컬 PC C:\Windows\System32 폴더에서 cmd.exe 프로그램에 커서를 가까이 대고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한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해 줍니다.

프롬프트창이 팝업되면 명령어 'sc stop appxsvc'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눌러 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sc stop은 윈도우 서비스를 중지하는 명령어로 시작할 경우에는 'sc start 서비스명'으로 입력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행창을 이용해 wsappx 서비스를 중단하기 위해서는 실행창에 gpedit.msc를 입력, 실행을 먼저 시켜줘야 하는데 실행창은 윈도우 창 왼쪽 아래에 있는 윈도우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도 되지만 자판에서 윈도우 키+R 키를 눌러서도 실행이 가능합니다.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가 팝업되면 컴퓨터 구성에서 관리 템플릿을 선택한 후 펼쳐진 카테고리에서 'windows구성요소'를 순차적으로 클릭해 줍니다.

'windows 구성요소는' 업데이트를 비롯해 메신저, 보안, 설치 등의 여러 서비스를 관장하고 있는데 이 중 '스토어'를 선택, 'Turn off store application(스토어 응용 프로그램 사용 안함)'에 커서를 가져간 뒤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편집창을 열도록 합니다.


편집창으로 이동하면 구성되지 않음과 사용, 사용안함으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는데 이 중 '사용'을 클릭해 줍니다.

문구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무작정 '사용안함'으로 체크하는 경우가 있는데 해당 설정은 스토어 응용 프로그램 사용 안 함에 대해 기능 설정을 하는 것이므로 '사용'을 해야 wsappx 프로그램을 사용 안하는 것이 됩니다.

어느 방법을 사용하던 결과는 동일하며 편하신 방법을 골라 사용하시면 wsappx 프로그램을 중단시킬 수 있는데 이 기능은 서비스를 중단시키는 것이지 삭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컴퓨터 속도 복구하는 방법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최신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PC 속도를 손쉽게 향상 시킬 수 있지만 이는 비용이 들기 때문에 현재 사양에서 최적의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속도향상의 첫째 조건은 악성코드와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주어야 합니다.

악성코드와 바이러스는 속도 저하와 함께 성능을 저하시키고 치명적인 오류를 일으킬 확률을 높이는데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만 해 놓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해 두지 않으면 새로운 악성코드를 잡아내지 못할 우려가 커집니다.



사용성이 떨어지는 파일은 방치하기 보단 주기적으로 백업을 해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리는 것이 좋은데 이는 용량이 적은 파일의 경우 컴퓨터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용량이 큰 동영상의 경우 하드디스크 자리를 많이 차지해 속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프로그램을 반복적으로 설치하고 삭제하다 보면 하드디스크는 순차적으로 파일을 기록하지 못하고 여러 곳에 나눠 저장하게 되는데 이 경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여러 곳에서 기억을 끌어오기 때문에 프로그램 속도가 더디어 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주기적으로 디스크 조각 모음을 통해 흩어진 기록을 한곳에 모아 놓으면 속도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부팅 시 속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시작 프로그램 수를 최소화 하고 바탕화면 아이콘을 깨끗이 정리해 줄 필요가 있는데 윈도우 검색창에 'mscongif'를 친 뒤 '시스템 구성' 창에 들어가 잘 쓰지 않는 프로그램을 부팅 시 켜지지 않도록 설정, 재부팅 해주면 속도가 빨라집니다.

바탕화면에 아이콘 수를 정리한다고 컴퓨터 속도를 빨라지게 하진 않지만 컴퓨터를 켜고 나서 윈도우가 부팅되는 속도를 높이는데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이콘이 많으면 시작이 느리고 전반적인 시작 프로그램의 가동도 늦추기 때문에 정리를 말끔히 해주는게 좋습니다.

또한 주기적으로 인터넷 임시파일 및 쿠키, 액티브X를 삭제해 주는 것이 좋은데 임시파일이 누적되면 될수록 파일들이 서로 얽히고 설켜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댓글